COVER STORY이슈 팩트 읽기 글로벌 통상 격변기, 한국·중남미 경제협력 급물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고관세정책으로 세계무역기구(WTO) 자유무역 체제가 위협받는 가운데, 우리 정부는 중남미 국가들과의 통상협력을 강화하고 있다. 미·중 관세전쟁 등 무역 환경이 급변하는 상황을 수출 시장 다변화를 통해 정면 돌파하겠다는 전략이다. 산업통상자원부와 코트라(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는 한-멕시코 전략적 동반자 관계 수립 20주년을 계기로 4월 29일(이하 현지시각)부터 양일간 멕시코 멕시코시티 인터콘티넨탈 호텔에서 ‘2025 한·멕시코 파트너십 플러스 위크’를 개최했다.

글로벌 통상 격변기, 한국·중남미 경제협력 급물살
COVER STORY함께 풀기 "미국의 고율관세정책으로 중남미 전략적 중요성 확대"

우리 정부는 중남미 지역과 경제협력을 강화하기 위해 한·중미 자유무역협정(FTA) 체결 및 발효, 한·브라질 무역투자촉진프레임워크(TIPF) 체결, 한·에콰도르 전략적경제협력협정(SECA) 타결 등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이를 통해 한국과 중남미 국가 간 경제협력 틀을 마련하고, 무역 확대와 투자 활성화를 도모하겠다는 의지다. 한병길 한·중남미협회 회장, 홍성우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 아프리카중동·중남미팀장, 박민경 코트라(KOTRA) 전문위원 등 전문가 3인은 ‘통상’과 대담에서 중남미가 인구 6억 명 이상의 거대 시장과 풍부한 자원을 가지고 있어 한국 무역에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미국의 고율관세정책으로 중남미  전략적 중요성 확대"
COVER STORY깊이 보기 애니깽에서 비바 코리아로⋯ 중남미는 한국의 동반자

중남미는 한국과 가장 오랜 인연을 맺어온 지역 중 하나다. 1905년 4월, 일제강점기의 설움과 가난을 피해 더 나은 삶을 꿈꾸며 인천 제물포항을 떠난 1033명의 조선인. ‘애니깽’이라 불리던 멕시코 유카 탄반도 에네켄(용설란) 농장에서 그들이 뿌린 땀과 눈물은 중남미 한인 사회의 뿌리가 됐다. 이후 쿠바·브라질·아르헨티나·파라과이 등지로 이어진 이민 여정은 우리에게 중남미를 단지 ‘먼 타국’이 아닌 ‘함께 살아온 땅’으로 만들어 줬다.

애니깽에서 비바 코리아로⋯ 중남미는 한국의 동반자
COVER STORY깊이 듣기 "美 관세 부과, 중남미에 유럽·아시아와 협력 기회 될 수도"

전 세계적인 공급망 재편, 금리 조정, 기후변화 대응 압력이 맞물리면서 중남미 경제는 새로운 전환점을 맞고 있다. 브라질, 멕시코, 칠레 등 주요 국가는 풍부한 자원과 전략적 위치를 기반으로 글로벌 경제 흐름에서 다시 주목받고 있지만, 동시에 고질적인 구조적 문제와 정치 불안정성은 여전히 발목을 잡고 있다. 인플레이션(물가 상승) 압력, 재정 건전성 확보, 산업 다각화라는 과제가 병존하는 가운데, 중남미 국가가 자원 수출 중심 경제 모델에서 미래 친환경·신산업 기술 기반 성장 전략으로 전환할 수 있을지 주목된다.

"美 관세 부과, 중남미에 유럽·아시아와 협력 기회 될 수도"

통상·FTA

"첨단·脫석유 ‘오만 비전 2040’ 프로젝트에 韓 기업 참여 기대"?replace('
통상 현장"첨단·脫석유 ‘오만 비전 2040’ 프로젝트에 韓 기업 참여 기대"
미국 정부의 상호 관세 추진과 한국의 대응 방향?replace('
통상의 세계 돋보기미국 정부의 상호 관세 추진과 한국의 대응 방향
첨단 기술 산업, 리스크 관리 강화해 미래 대비해야?replace('
수출 환경 분석 리포트첨단 기술 산업, 리스크 관리 강화해 미래 대비해야
2030년 조선업 세계 10위 진입 목표 내건 인도?replace('
글로벌 현장 리포트2030년 조선업 세계 10위 진입 목표 내건 인도
‘소금’<나트륨>으로 만든 차세대 배터리도 선보여?replace('
글로벌 통상 뉴스‘소금’<나트륨>으로 만든 차세대 배터리도 선보여
  • 정기구독
  • 뉴스레터
  • 독자의견
  • EVENT

인터뷰

"韓美 자동차 기업 전략 제휴, 보호무역 방패 될 수 있어" 테런스 라우시러큐스대 법학 교수 겸 법대 학장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4월 10일(이하 현지 시각), 중국을 제외한 대부분 국가에 대해 90일간 상호 관세를 유예한다고 발표했다.…

이달의 뉴스

한·태국 경제동반자협정(EPA) 제5차 공식 협상 개최

미국의 관세 조치와 이에 따른 통상 환경의 불확실성 증대로 유망 시장과 양자 자유무역협정(FTA)을 통한 수출 시장 다변화 필요성이 커지는 가운데, 한국과 아세안…

  • 美 친환경 정책 ‘급제동’…화석에너지 중시 정책 회귀

    트럼프 2기 시대가 도래하면서 미국의 에너지·기후 정책은 조 바이든 정부 때와 180도 변한 모습이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1월 20일(이하 현지 시각) 취임 직후부터 강도 높은 행정 조치를 연이어 단행했다. 취임 후 첫 달 동안에만 68건의 행정 명령, 16건의 대통령 지시문, 11건의 포고를 발표했다.

  • K-방산, AI 같은 첨단 기술 접목 무기 체계로 수출 확대해야… 단순 무기보다 솔루션 공급
  • ‘관세 조치가 대통령 권한 밖’이라는 미국 내 소송, 법원 판단에 세계가 주목
  • 美 우선주의 vs 유럽 그린딜… “韓 성장 추구형 탄소 중립 전략 세워야”
  • 안덕근 장관 "좋은 출발, 그동안 쌓은 신뢰 자산 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