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버스토리

이슈 팩트 읽기

한·아프리카 정상회의 이어 내년엔 한·중앙아시아 정상회의 추진 자원 부국 글로벌 사우스와 동반 성장, 글로벌 중추 국가 가속
윤석열 대통령이 6월 4일 2024 한·아프리카 정상회의장에서 열린 한·아프리카 정상회의에서 아프리카 정상들과 함께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대통령실

6월 4일 아침 경기도 고양시 킨텍스 주차장에 검은색 소형 버스가 하나둘씩 케냐, 탄자니아, 세이셸 등 아프리카 국가 국기 배너가 있는 곳에 정차했다. 버스에서 내린 넥타이 정장 차림의 중년 아프리카인들이 킨텍스 전시장을 향해 발걸음을 옮겼다. 6월 4~5일 고양시와 서울에서 열린 윤석열 대통령 주재 ‘2024 한·아프리카 정상회의’에 참석한 48개국 정상과 대표들이었다. 이번 정상회의는 우리나라의 첫 번째 ‘한‧아프리카 정상회의’다. 10개국은 국가 원수가 직접 방한(訪韓), 윤 대통령과 양자 정상회담을 했다. 6월 10~16일(현지시각)엔 윤대통령의 중앙아시아 3개국(투르크메니스탄·카자흐스탄·우즈베키스탄) 순방도 이뤄졌다. 



윤 대통령과 아프리카 정상·대표들은 ‘핵심 광물 대화’를 출범시켰다. 한·아프리카는 경제 동반자 협정(EPA)과 무역투자촉진프레임워크(TIPF)를 체결하고, 투자 보장 협정 확대로 기업 간 교류 활성화를 촉진하기로 했다. 도로·철도·교량 같은 대규모 인프라 협력과 아프리카 해적 퇴치, 대테러 지원 등 평화·안보 분야 협력도 강화하기로 했다. 이번 회의 중 체결된 조약·협정은 13건, 양해각서(MOU)는 39건에 이른다.윤 대통령과 아프리카 48개국 정상·대표는 공동선언문에서 동반 성장과 지속 가능성, 연대 등 3대 협력 방향에 공감하고 교역·투자·인프라 등 7대 중점 협력 분야도 선정했다.


양측의 협력 사업 이행을 위해 경제협력장관회의(KOAFEC), 농업장관회의 등 고위급 협의체의 활동을 강화하기로 했다. 윤 대통령은 중앙아시아 3개국 순방에서 가스전60억달러(약 8조2500억원) 추가 수주 가능성을 키웠고, 리튬·몰리브덴·텅스텐 등 반도체·이차전지 소재 핵심 광물 공급망 협력 파트너십을 체결하는 성과를 거뒀다. 특히 우즈베키스탄 국빈 방문을 계기로 2700억원 규모의 한국형 고속철 수출 계약이 체결됐다. 내년엔 한⋅중앙아시아 5개국 정상회의 개최도 추진하기로 했다.



정부가 첫 번째 ‘한‧아프리카 정상회의’를 개최하고 내년에 한‧중앙아시아 정상회의 개최에 나서기로 한 것은 아프리카, 중앙아시아 등 글로벌 사우스의 지정학적, 지경학적 가치가 부각되고 있기 때문이다.2023년 5월 한⋅태평양 도서국 간 첫 정상회의를 개최한 데 이은 것으로, ‘글로벌 통상 중추 국가’로 가는 행보가 빨라지고 있음을 보여준다.이를 위해 아시아, 아프리카, 중남미, 중동 등 120여 개 개발도상국을 통칭하는 글로벌 사우스와 동반 발전하는 전략을 채택한 것이다. 


특히 자원이 풍부하고, 젊은 인구 증가세가 두드러지는 아프리카는 지구촌의 신성장 동력으로 각광을 받고 있다.아프리카의 경우 25세 이하가 총인구의 60% 이상을 차지한다. 이 때문에 10여 년 전부터 전 세계 주요국은 아프리카에 러브콜을 보내왔다.미국, 중국, 일본, 영국, 프랑스, 러시아, 튀르키예 등 주요국은 10여 년 전부터 다수 아프리카 국가정상과 정상회의를 하는 ‘다자 정상회의’ 플랫폼을 구축하고 있다. 



글로벌 사우스와 협력은 니켈, 리튬, 흑연, 코발트 희토류 등 풍부한 광물자원을 확보하고 한국의 앞선 기술인력 및 노하우를 결합하여 상호호혜적인 성장을 도모하는 형태로 진행될 전망이다. 한국은 원조받는 국가에서 원조를 제공하는 국가로, 개발도상국에서 선진국으로 전환한 유일한 사례다.


글로벌 사우스 국가에 매력적인 대상으로 다가설 수 있다는 기대가 나오는 이유다. 한국의 첫 1+아프리카 정상회의에 아프리카 정상들이 전폭적인 지지를 보내고, 우리 정부의 ‘K실크로드’ 구상에 대해 중앙아시아 3국 정상의 지지를 확보한 게 이를 보여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