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 ESG 국제동향 및 국내 시사점(금융위원회, 2021.2) 글로벌 ESG 투자 및 정책동향(금융투자협회, 2020.6)
글로벌 투자운용사들이 ESG 성과를 기업투자 지표로 삼는 투자원칙을 천명하면서 최근 10년간 글로벌 ESG 자산규모가 3배 이상 증가했다. 전 세계 주요 기업들은 ESG 조직을 신설하고 ESG 경영원칙을 수립하는 등 적극 대응에 나서고 있다.
ESG의 글로벌 투자규모는 2020년 6월 말 기준, 약 40조5,000억 달러로 2012년 대비 3배나 늘었다.
자료: 글로벌지속가능투자연합(GSIA), 블룸버그
ESG는 환경(Environmental), 사회(Social), 지배구조(Governance)의 약칭으로 기업에 대한 투자 의사결정 시 재무적 지표를 넘어서 환경, 사회 영향, 투명경영 등 비재무적 성과도 판단기준으로 활용한다는 의미다.
지속가능발전 의제로 제시
ESG를 투자 결정, 자산 운영에 고려한다는 원칙 발표
기업 및 기관의 지속가능성 평가 지표 설정
기후변화 관련 리스트와 기회요인, 이에 따른 재무정보공개 권고안 제시
이해관계자 가치가 통합된 새로운 기업 목표 선언
지속가능가치를 측정할 수 있는 백서 발간
2025년부터 일정 규모 이상 기업, 2030년부터 모든 코스피 상장사 지속가능경영 보고서 발간 의무화
유가증권시장 상장법인 760사를 대상으로 평가한 결과에 따르면, ESG 인식 제고 및 경영환경 개선으로 상위권 기업 수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A+ 등급을 받은 기업이 2019년 8개사에서 2020년 18개사로 늘어났다.
S(탁월) A+(매우 우수) A(우수) B+(양호) B(보통) C(취약) D(매우 취약) TOTAL(합계)
2019 | 0 | 8 | 50 | 135 | 259 | 266 | 28 | 746 |
---|---|---|---|---|---|---|---|---|
2020 | 0 | 16 | 92 | 134 | 260 | 236 | 22 | 760 |
자료: 2020년 상장기업의 ESG평가 및 등급 공표(한국기업지배구조원, 2020.10.14.)
환경(E) | 기후변화 | 탄소발자국, 기후변화 사건에 대한 취약성 |
---|---|---|
자연자원 | 에너지효율, 물 효율, 토지사용, 원자재 추출 | |
환경오염·쓰레기 | 독성물 배출, 대기 질, 폐수관리, 위해물질 관리 | |
기회와 정책 | 재생에너지, 청정에너지, 녹색건물, 환경·종다양성 | |
사회(S) | 인적자본 | 직정건강 및 안전, 노동자 참여, 노동관행(임금, 근로여건) |
생산책임 | 생산물 안전·품질, 고객 신분보호 및 데이터 보안, 상품접근성 | |
지배구조(G) | 기업 지배구조 | 이사회 구조·책무, 경영진 보상, 회계·공시 관행, 주주권리 |
기업행태 | 부패관리, 경쟁행위, 세금·특수관계자 거래 투명성 |
높은 수준의 ESG | 낮은 수준의 ESG | |
---|---|---|
B2B/B2C 고객 포섭력 확대 | 수익 | 실망한 고객 이탈 상승 |
에너지 소비 감축 | 비용 | 쓰레기 처리비용 상승 |
유연한 전략으로 정부지원 획득 | 규제 | 각종 벌금/처벌 촉발 |
신뢰도 제고로 고급인력 수혈 | 생산성 | 사회적 낙인으로 인재 이탈 |
저수익 투자 회피 가능 | 자산 | 좌초자산 손실로 경쟁 낙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