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리하기

전 세계에 부는 ESG 바람

자료 ESG 국제동향 및 국내 시사점(금융위원회, 2021.2) 글로벌 ESG 투자 및 정책동향(금융투자협회, 2020.6)

글로벌 투자운용사들이 ESG 성과를 기업투자 지표로 삼는 투자원칙을 천명하면서 최근 10년간 글로벌 ESG 자산규모가 3배 이상 증가했다. 전 세계 주요 기업들은 ESG 조직을 신설하고 ESG 경영원칙을 수립하는 등 적극 대응에 나서고 있다.

1 글로벌 ESG 투자자산 규모

ESG의 글로벌 투자규모는 2020년 6월 말 기준, 약 40조5,000억 달러로 2012년 대비 3배나 늘었다.

자료: 글로벌지속가능투자연합(GSIA), 블룸버그
  1. 2012 13.3
  2. 2014 21.4
  3. 2016 22.8
  4. 2018 30.7
  5. 2020(예측치) 40.5
(단위: 조 달러)

자료: 글로벌지속가능투자연합(GSIA), 블룸버그

2 타임라인별로 본 ESG

ESG는 환경(Environmental), 사회(Social), 지배구조(Governance)의 약칭으로 기업에 대한 투자 의사결정 시 재무적 지표를 넘어서 환경, 사회 영향, 투명경영 등 비재무적 성과도 판단기준으로 활용한다는 의미다.

1987년
UNEP, WCED, 브룬틀란 보고서 발간

지속가능발전 의제로 제시

2006년
UN PRI(유엔책임투자원칙) 발표

ESG를 투자 결정, 자산 운영에 고려한다는 원칙 발표

2016년
지속가능성 보고서의 국제 지침인 GRI 표준 발표

기업 및 기관의 지속가능성 평가 지표 설정

2017년
TCFD(기후변화 관련 재무정보공개 TF) 권고안 발표

기후변화 관련 리스트와 기회요인, 이에 따른 재무정보공개 권고안 제시

2019년
BRT 연례회의, ‘New Purpose’ 선언

이해관계자 가치가 통합된 새로운 기업 목표 선언

2020년
세계경제포럼, 지속가능성 의제 논의

지속가능가치를 측정할 수 있는 백서 발간

2021년
한국거래소, 기업공시제도 개선안 발표

2025년부터 일정 규모 이상 기업, 2030년부터 모든 코스피 상장사 지속가능경영 보고서 발간 의무화

자료: 삼정KPMG 경제연구원, 언론보도 종합
3 국내 기업의 ESG 평가 및 등급

유가증권시장 상장법인 760사를 대상으로 평가한 결과에 따르면, ESG 인식 제고 및 경영환경 개선으로 상위권 기업 수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A+ 등급을 받은 기업이 2019년 8개사에서 2020년 18개사로 늘어났다.

S(탁월) A+(매우 우수) A(우수) B+(양호) B(보통) C(취약) D(매우 취약) TOTAL(합계)

2019 0 8 50 135 259 266 28 746
2020 0 16 92 134 260 236 22 760
(단위: 기업수)

자료: 2020년 상장기업의 ESG평가 및 등급 공표(한국기업지배구조원, 2020.10.14.)

4 ESG의 주요 범위
환경(E) 기후변화 탄소발자국, 기후변화 사건에 대한 취약성
자연자원 에너지효율, 물 효율, 토지사용, 원자재 추출
환경오염·쓰레기 독성물 배출, 대기 질, 폐수관리, 위해물질 관리
기회와 정책 재생에너지, 청정에너지, 녹색건물, 환경·종다양성
사회(S) 인적자본 직정건강 및 안전, 노동자 참여, 노동관행(임금, 근로여건)
생산책임 생산물 안전·품질, 고객 신분보호 및 데이터 보안, 상품접근성
지배구조(G) 기업 지배구조 이사회 구조·책무, 경영진 보상, 회계·공시 관행, 주주권리
기업행태 부패관리, 경쟁행위, 세금·특수관계자 거래 투명성
자료: IMF, 2020
5 ESG가 기업가치에 미치는 영향
높은 수준의 ESG 낮은 수준의 ESG
B2B/B2C 고객 포섭력 확대 수익 실망한 고객 이탈 상승
에너지 소비 감축 비용 쓰레기 처리비용 상승
유연한 전략으로 정부지원 획득 규제 각종 벌금/처벌 촉발
신뢰도 제고로 고급인력 수혈 생산성 사회적 낙인으로 인재 이탈
저수익 투자 회피 가능 자산 좌초자산 손실로 경쟁 낙오
자료: 매킨지, 20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