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상通

전문가와 함께 일하면 FTA도 쉬워집니다

김기완 삼육식품 해외영업부 팀장

취재 김선녀 기자 사진 지다영

삼육식품은 한국산임을 인증하기 위해 협력 업체와 긴밀하게 공조한다.
FTA 담당자 혼자만의 고군분투가 아닌, 자문위원과 식품 인증팀과의 협업이 있기에 가능한 일이다.
먼저 시작한 신남방정책

“두유를 만드는 콩은 어느 나라나 비슷하지만, 우리나라 두유는 콩을 높은 온도에서 찌고 갈아 콩즙을 만들어 가공하는 데 비해 동남아시아를 비롯한 대부분의 나라는 콩을 건조해 만든 분말에 물을 섞어 두유를 만듭니다. 이런 가공 방식의 차이에서 비롯된 영양소와 맛의 경쟁력은 세계시장에서 한국 두유의 우월성을 탁월하게 해줍니다.”
삼육식품에서 2009년부터 해외영업부를 맡아온 김기완 팀장은 삼육식품 미주 지사장까지 역임한 두유 수출의 베테랑이다. 미국·중국·캐나다 등에 두유를 수출하고 있지만,
현재 삼육식품의 최대 수출국은 베트남이다. 삼육식품은 동남아시아 시장의 성장 가능성을 일찍이 알아보고 2010년 후반부터 최고경영자의 전략적 선택과 집중에 따라 지역의 개발과 진출에 전력했다.
실무에 있어서 몇 년 전만 해도 베트남은 수출 장벽이 상당히 높았다. 관세율이 높았고, 한국 제품을 받아들일 만한 경제 수준도 아니었다. 판을 바꾸는 결정적 역할을 한 건 바로 한-아세안 FTA였다.
“가격경쟁력을 생각조차 하기 어려운 상황이었지만 한-아세안 FTA가 시행된 후 관세율이 떨어지고, 동시에 베트남 경제도 성장하면서 베트남 사람들이 구매할 만한 수준의 가격이 형성될 수 있었습니다. 저희도 그렇지만 바이어 쪽에서 정말 좋아했죠.”

효용을 위해 협업에 투자
두유를 만드는 데는 콩을 제외하고도 아주 많은 원재료가 들어간다. 이 구성 성분 전체가 한국산임을 증명해야 완제품이 한국산이라는 인증을 받을 수 있다. 그러기 위해서는 원재료를 공급하는 협력 업체 역시 완제품 회사와 같은 마음, 같은 수준으로 한국산임을 증명하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 하지만 협력 업체의 원산지 증명을 관리하는 건 쉬운 일이 아니다.
“FTA에 대해 알아보면서 정부의 여러 유관기관에서 FTA 관련 자문을 무료로 해주는 전문가들이 많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습니다. 특히 지역 상공회의소 및 경제 진흥원 등은 FTA 실행에 대한 교육을 진행하고, 관세사 등의 상담자를 두어 FTA에 대한 이해와 실제 업무의 연계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해주어 저 역시 많은 도움을 받았습니다.”
삼육심품을 자문해주었던 관세사들은 협력 업체에 방문해 원재료 가공 과정 등을 살펴보고 한국산임을 증명할 방법을 찾아냈고, 결국 원산지 증명서를 통해 한국산으로 인증받았다.
“본인이 시간을 투자해 얻는 효용과 자문 기관과의 협력을 통해 얻는 효용을 비교해 어느 것이 더 좋을지 고민해봤으면 좋겠습니다. 업무를 오래 하면 FTA에 대해 잘 알게 되지만, 늘 여러 가지 어려움과 문제가 있으며 업무의 집중도의 차이 때문에 전문가와의 협업과 도움이 요구됩니다. 무엇보다 업무 담당자로서 FTA에 대한 이해와 완성도 있는 실행도 매우 중요하지만 무엇이 판매증진의 도움이 되는지에 대하여 효율성과 효과성을 고려해야합니다. 전문가의 적극적인 협업을 통해 진행 한다면 좀 더 빠르고 쉽게 일을 처리할 수 있습니다.”
안전한 식품이 곧 안전한 수출 

식품 기업의 수출은 일반 제품보다 더 어렵다. ISO, HACCP, 할랄 등 국가마다 식품에는 더 까다로운 인증을 요구하기 때문이다. 당연히 모든 원재료의 위생 상태, 가공 과정 등을 검사해야 한다. 하지만 결과적으로 이런 복잡하고 어려운 인증 덕분에 FTA는 훨씬 쉬워진다.
“회사의 제품을 소개할 때 식품의 안전성 부분을 강조하고 설명하기 위해 인증 관련 서류를 자주 살펴보고, 모든 제품의 제조 과정을 공부하게 됩니다. 영업 업무를 오래 하면서 이런 식품 인증 관련 과정에서 FTA 원산지 증명과 겹치는 부분이 상당하다는 걸 자연스럽게 깨달았습니다. 식품 기업이라면 수출과 FTA를 준비할 때 관세율에만 접근하기보다는 식품 제조 과정부터 관련 부서와 서류 등 업무를 공유하고, 원산지 증명과 연관 지으면 FTA 과정이 전혀 어렵지 않게 느껴질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