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들이 살아남기 위해서는 이제 ESG 경영이 필수다. 안전, 인권, 공급망 등에서 문제가 있는 기업은 제품의 품질이 아무리 좋고 가격경쟁력이 있어도 제품을 팔기 어려운 환경이 된 것. 기업이 성공적인 ESG 경영을 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ESG 전문가의 활약이 갈수록 커지고 있다. 국내 ESG 컨설팅 분야를 선도하고 있는 것으로 평가받는 삼정KPMG 문상원 상무로부터 ESG 전문가에 대해 들었다.
글 이선민 기자 사진 이소연
문 ESG란 기업의 비재무적 요소인 환경(Environment)·사회(Social)·지배구조(Governance)를 뜻하는 용어로, 투자 의사 결정 시 사회책임투자의 관점에서 기업의 재무적 요소들과 함께 고려하는 경향이 강해지고 있습니다. 그 배경을 보면 기후변화에 대한 글로벌 차원의 합의와 이를 이행하는 과정에서 관련 규제와 제도가 도입되고 주요 투자자들의 ESG 경영 및 공시 요구가 증대되고 있는 상황이며 최근에는 고객들도 ESG 리스크가 높은 기업에 대한 구매를 꺼리는 상황이 확산되고 있기 때문에 기업은 지속 가능한 경영을 위해서라도 ESG를 신경 쓸 수밖에 없습니다. 특히 ESG가 활성화돼 있는 유럽연합(EU) 지역에 수출하는 기업이나 진출해 있는 기업은 탄소국경세의 영향을 받게 되고 그들의 규제에 대응하지 못하면 사업을 지속할 수 없을 정도의 페널티를 받기 때문에 ESG 대응이 매우 중요합니다.
문 ESG 전문가라기보다는 주로 ESG 컨설턴트로 부릅니다. 정부가 ESG 관련 제도·규제를 도입하는 데 자문을 제공하거나 기업이 ESG 환경에 맞게 경영 시스템을 개편하는 데 도움을 주고 ESG 트렌드에 부합하는 새로운 사업 방향을 고민할 때 도움을 주는 사람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주로 ESG 경영전략 수립, ESG 투자전략 수립, 기후변화 대응 및 탄소중립 전략 수립, ESG 관련 공시 및 평가 대응 등의 활동을 합니다. 최근에는 ESG 환경하에 새로운 비즈니스 전략을 수립하는 분야로 범위가 확대되고 있습니다.
문 국내의 경우 SK그룹이 국제적으로 인정받을 정도로 ESG 경영이 잘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SK그룹은 ESG 개념이 도입되기 이전부터 사회적 가치라는 개념을 도입했고 ESG 경영체계도 그룹 차원에서 ESG KPI(핵심성과지표), ESG 정보기술(IT) 시스템 등 일찌감치 글로벌 수준을 구축했습니다. 그룹의 사업 포트폴리오도 ESG 친화적 사업들로 재편 중입니다. 이러한 ESG 경영은 오너의 추진의지와 더불어 주주들의 요구에 대응한 측면이 큽니다 ESG 경영 역량을 바탕으로 글로벌 기업연합체 VBA(Value Balancing Alliance)라는 ESG 측정 글로벌 이니셔티브를 주도하는 등 글로벌 차원에서도 영향력을 발휘하고 있습니다.
문 국내 ESG 선도기업들은 글로벌 기업들과 비교해도 손색이 없습니다. 그러나 전반적인 기업의 ESG 수준은 글로벌 중하위권으로 평가되고 있습니다. 국내 기업의 평가가 낮은 이유는 ESG 관리 기준이 국제 기준을 충족하지 못하거나 ESG 역량 또는 성과는 충분한데 공시 역량이 부족해 이해관계자와의 소통이 잘 이뤄지지 않아서입니다. 특히 ESG 리스크 관리는 잘하고 있지만 친환경 신사업, 신기술 등 새로운 기회창출 분야에서 경쟁력이 떨어지는 편입니다. ESG 관련 투자가 본격화되고 탄소중립 사회로의 전환이 본격화되는 점을 고려하면 매우 안타까운 상황입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저 같은 ESG 전문가들이 기업보다 한발 앞서 고민하고 준비해 솔루션을 제시하기 위해 노력 중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