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리하기

그래프로 보는 글로벌 반도체산업 전망

자료 반도체산업 중장기 전망(한국수출입은행 해외경제연구소, 2021.4)

반도체 수출이 9개월째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다. 올 2분기에 수출 확대에 대한 기대감도 높다. 정부가 발표한 ‘K-반도체 전략’ 역시 시장점유율 확대에 힘을 보탤 것으로 기대된다.

1 반도체 경기순환

반도체산업의 경기순환은 약 4년 주기로 발생했으나 2000년대 후반부터 수요처 다변화, 위탁생산 증가 등으로 경기순환 주기가 짧아지는 추세다.

반도체산업 성장률 그래프
2 반도체 수요구조

2020년 현재 반도체의 수요처는 통신기기(36%)와 컴퓨터(36%)가 쌍벽을 이루고 산업재(11%), 소비자가전(9%), 자동차(8%) 순이다. 2024년에도 유사한 비중이 전망된다.

(왼쪽) 반도체 수요처별 비중 전망 그래프,  (오른쪽) 반도체 수요처별 연평균 성장률 전망(2020~2024)
3 반도체 주요 전방산업 전망

스마트폰 출하량은 2025년까지 연평균 3.6% 성장할 전망이며 클라우드 사업자의 데이터센터 투자는 15.7%, PC는 2.5% 증가할 전망이다. 다만 자동차는 코로나19의 영향 등으로 다소 감소했으나 2026년부터 회복세로 돌아설 것으로 보인다.

(그래프 시계방향으로) 1. 세계 스마트폰 출하량 전망, 2. 세계 클라우드 사업자의 데이터센터 투자 전망,  3. 세계 PC 출하량 전망, 4. 세계 자동차 판매 전망
4 반도체 시장 전망

D램 시장은 2020년 653억 달러에서 2022년 연평균 23% 성장, 1,044억 달러로 역대 최대 규모를 기록할 것으로 보이며 낸드플래시 시장은 2020년 560억 달러에서 2022년 816억 달러로 연평균 26% 성장 전망이다. 시스템 반도체는 산업특성상 슈퍼사이클이 발생하기 어렵다.
파운드리 시장은 2020년 805억 달러에서 2022년 940억 달러로 연평균 8% 이상 고성장할 전망이다.

(그래프 시계방향으로) 1. D램 시장 전망, 2. 낸드플래시 시장 전망, 3.파운드리 시장 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