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상·FTA FTA 활용하기
계속되는 품목 분류 국제분쟁…수출 비용과 경쟁력 좌우
국제무역 환경이 복잡해짐에 따라 동일한 물품이라도 국가별 해석 차이로 인해 예기치 못한 통관 애로를 겪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국제적으로 통일된 품목 분류 제도에 대한 이해가 필수적이다. 본 글에서는 품목 분류 제도의 개요와 함께 주요 국제분쟁 사례를 소개하고 우리 기업이 활용할 수 있는 제도를 안내한다.
FTA 활용 정보 참고 홈페이지
█ 산업통상부 FTA 각국, KOREA 홈페이지 (http://www.fta.go.kr)
█ 관세청 FTA 포털 홈페이지 (http://www.cutoms.go.kr/ ftaportalkor/main.do)
█ 무역협회 트레이드내비 (http:// www.tradenavi.or.kr)
품목 분류 활용 정보 참고 홈페이지
█ 관세청 관세법령 정보 포털 홈페이지 (https://unipass.customs.go.kr/ clip/index.do) > 세계HS
█ 한국무역통계진흥원 HS CODE 내비게이션 (https://www.bandtrass.or.kr/ hsnavi.do)
용어설명
- 1WCO(세계관세기구) HS 위원회
HS의 통일적 해석을 통해 국제적 일관성을 확보하기 위해 매년 2회(3월·9월) 벨기에 브뤼셀 본부에서 개최되는 회의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