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월 15일(이하 현지시각)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올해 9월 전 세계 전기차 판매량이 210만 대로 집계됐다. 지난해 9월 대비 26% 늘었다. 지역별로 살펴보면, 올해 9월 중국에서는 130만 대가 판매돼 지난해 9월보다 15% 증가했다. 같은 기간 유럽에서는 36% 늘어난 43만 대, 북미에선 66% 급증한 22만 대의 전기차가 판매됐다. ‘전기차 캐즘(Chasm⋅혁신 제품이 대중화하기 전 일시적으로 수요가 정체되는 것)’ 논란에도 전기차 판매량이 늘어난 이유로는 크게 두 가지가 거론된다.
우선, 우후죽순 늘어난 중국 전기차 기업 간의 출혈 경쟁이다. 글로벌 컨설팅 업체 ‘알릭스파트너스’에 따르면, 지난 7월 기준 중국에는 129개의 전기차 브랜드가 있다. 중국 정부가 전기차 산업을 적극 육성한 결과인데, 이 때문에 할인 경쟁도 과열되는 모양새다. 일례로 중국 최대 전기차 기업인 BYD는 일부 지역에서 인기 모델을 최대 50% 할인해 주는 경우도 있다고 한다.
최근 전기차 판매가 늘어난 또 다른 이유는 9월 30일부로 종료된 미국의 전기차 구매 세액공제 제도다. 미국 정부는 인플레이션 감축법(IRA)1)에 따라 전기차를 구매한 소비자에게 최대 7500달러의 세액 공제를 제공해 왔다. 그러나 IRA 종료에 따라 10월 1일부터 더 이상 전기차 보조금을 지급하지 않기로 하면서 많은 소비자가 혜택이 끝나기 전 서둘러 전기차 구매에 나선 것으로 풀이된다.
이 때문에 지난 9월 전 세계 전기차 판매량이 급증한 것을 두고 일각에선 전기차 시장의 구조적 회복이 아니라 정책 변화에 따른 일시적 반등이라는 평가가 나온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10월 14일 “미국뿐 아니라 캐나다와 유럽에서도 전기차 보조금 정책이 축소되고 있다”며 “전 세계 전기차 시장이 이제는 정부 지원 없이 스스로 살아남을 수 있다는 사실을 입증해야 하는 단계에 들어섰다”고 전했다.
美 지프·포드, 알루미늄 공급난에 생산 중단
10월 19일 월스트리트저널에 따르면, 지프(Jeep)의 주요 SUV(스포츠유틸리티차량)를 생산하는 스텔란티스 미국 미시간주 공장이 알루미늄 부족으로 공장 가동을 일시 중단했다. 포드 역시 같은 이유로 켄터키주 공장에서 소형 SUV 모델 일부의 생산을 일시 중단했다. 알루미늄 공급 업체인 노벨리스 공장에서 발생한 화재 때문이다. 이 공장은 미국 자동차 산업 알루미늄 판재의 약 40%를 공급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외국인 투자 통제 강화하는 러시아
10월 28일 코트라 러시아 모스크바 무역관에 따르면, 러시아 정부 위원회가 ‘전략 기업에 대한 외국인 투자 절차법’ 개정안을 승인했다. 이를 통해 외국인의 자국 내 중요 자산 보유 및 거래에 대한 통제를 강화하겠다는 구상으로 풀이된다. 개정안에는 비(非)연방급 광물자원 채굴 기업 등을 전략 기업 대상으로 추가 지정하고, 외국인이 전략 산업 관련 국유·지방 자산 등을 매입할 경우 정부의 사전 승인을 받도록 했다.
호주-UAE 포괄적 경제동반자협정(CEPA) 발효
10월 1일 코트라 호주 멜버른 무역관에 따르면, 호주와 아랍에미리트(UAE) 간의 포괄적 경제동반자협정(CEPA·Comprehensive Economic Partnership Agreement)이 정식 발효됐다. UAE는 호주 수출 기업에 중동 시장 진출의 관문 역할을 하는 핵심 파트너로 통한다. 이번 협정으로 냉동 육류 등 호주의 대UAE 수출품 중 99% 이상에 대한 관세가 철폐됐으며, 양국은 비관세장벽을 해소하기 위한 협력에도 나서기로 했다.
오픈AI, 1조달러 규모 인프라 구축 자금 조달 추진
10월 15일 파이낸셜타임스(FT)에 따르면, 챗GPT 개발사 오픈AI가 앞으로 5년 동안 1조달러 이상을 투입해 세계 최고 수준의 AI 인프라를 구축하는 계획을 추진 중이다. 문제는 오픈AI가 아직 수익을 내지 못하는 ‘적자 기업’이란 점이다. 이 때문에 정부와 대기업을 대상으로 맞춤형 AI 솔루션을 제공하고, 영상 생성 서비스 ‘소라’와 AI 쇼핑 도구 그리고 AI 비서로 불리는 AI 에이전트 등 다양한 수익원을 개발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용어설명
- 1인플레이션 감축법(IRA)
미국이 인플레이션(물가 상승) 완화를 위해 2022년 8월 16일 발효된 법. 기후변화 대응, 보건 분야 복지 개선, 기업 과세 개편 등에 정부 자금을 투입해 미국의 재정 적자 해소 및 친환경 경제로 전환을 목표로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