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국과 유럽을 잇는 첫 북극 항로가 공식 개통됐다. 해운 전문지인 ‘시트레이드 마리타임뉴스’에 따르면, 중국 저장성 닝보·저우산항에서 컨테이너선 ‘이스탄불 브리지(Istanbul Bridge)’호가 9월 22일(이하 현지시각) 화물 적재 작업을 마치고 영국 최대 컨테이너항인 펠릭스토항으로 향했다.
북극 항로를 이용하는 이번 항해에는 최소 18일이 소요될 예정이다. 그간 중국에서 출발해 유럽으로 향하는 선박의 운항 시간은 수에즈운하를 통과할 경우 최소 40일, 아프리카 최남단 희망봉을 경유하면 최소 50일이 걸렸다. 북극 항로 이용이 가능해진 것은 지구온난화로 북극의 해빙이 줄어든 결과다. 미국 해양대기청(NOAA)에 따르면, 북극의 빙하 면적은 1979년 705만㎢에서 2024년 438만㎢로 줄어든 상태다. 문제는 지구온난화가 빠르게 진행되고 있어, 2040년 여름에는 북극해에 얼음이 거의없는 상태가 될 수 있다는 점이다.
북극 항로의 최고 장점은 경제성이다. 운항 거리가 짧아지고, 소요 시간이 줄어들면서 연료비를 절감할 수 있게 됐기 때문이다. 중국에서 수에즈운하를 통과해 네덜란드까지 항해할 경우 연료비가 약 34만달러 수준이지만, 북극 항로를 이용할 경우 약 23만달러로, 30% 이상 연료비를 줄일 수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또 운송 기간 단축으로 재고 비용이 줄고, 고부가가치 화물의 정시 운송에도 유리하다. 특히 줄어드는 운항 기간만큼 탄소 배출량 역시 줄어들면서 친환경 물류에도 기여할 수 있게 된다. 지정학 리스크도 회피할 수 있다. 예멘 후티 반군은 2023년 11월부터 수에즈운하로 향하는 선박에 미사일과 드론 공격을 감행하면서 많은 해운사가 우회 항로를 이용할 수밖에 없었는데, 북극 항로가 대체 항로가 될 수 있다. 물론 러시아와 서방 국가 간 갈등이 고조되는 상황에서 러시아 해역을 통과해야 하는 점은 변수가 될 수 있다. 중국은 수년 전부터 북극 항로 운항을 준비해 왔다. 2018년 ‘중국 북극 정책’ 백서를 통해 북극 항로 개발·이용 의지를 밝히며 “각 당사국과 ‘빙상 실크로드’를 함께 만들고 싶다”고 밝힌 바 있다.

엔비디아, 오픈AI 데이터센터 구축에 140조 투자
9월 22일 엔비디아가 챗GPT 개발사 오픈AI와 전략적 파트너십을 체결하고, 최대 1000억달러(약 140조원)를 AI 인프라에 투자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엔비디아는 이번 투자를 통해 자사 첨단 AI 칩을 활용해 오픈AI의 AI 모델을 학습·배포할 수 있는 10GW(기가와트) 규모 데이터센터를 구축하도록 지원할 계획이다. 10GW는 원전 10기에 해당하는 규모다. 이 데이터센터는 이르면 2026년 하반기에 가동할 예정이다.

인도, 세제 전면 개편…소비 촉진 기대
9월 23일 코트라 인도 뭄바이무역관에 따르면, 인도가 전국 단일 세제인 상품·서비스세(GST·Goods and Services Tax) 제도를 전면 개편한다. 우선 원재료에 부과되는 관세가 완제품 관세보다 더 높은 ‘역전 관세 구조’를 시정하고, 5·12·18·28% 등 4단계로 나뉜 세율을 5·18% 등 2단계로 단순화하기로 했다. 인도 정부는 이번 세제 개편을 통해 세율 구조 합리화에 따른 중소기업 부담 감소, 소비 촉진 등을 기대하고 있다.

세계 국방비 사상 최대…전년 대비 9.4%↑
9월 24일 스톡홀름국제평화연구소(SIPRI)에 따르면, 2024년 전 세계 국방비 지출이 2조7180억달러로 사상 최대치를 기록한 것으로 집계됐다. 한화로 3809조원이 넘는 규모다. 이는 전년 대비 9.4% 증가한 수준으로, 냉전 이후 최대 증가 폭이다. 미·중 패권 경쟁이 심화하는 가운데, 2022년 시작된 우크라이나·러시아 전쟁 장기화에 따른 유럽의 재무장이 글로벌 국방 지출을 늘리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국가신용 등급 강등된 프랑스
9월 12일 국제 신용평가사 피치가 프랑스의 국가신용 등급을 ‘AA-’에서 ‘A+’로 한 단계 하향 조정했다. 프랑스의 국가 부채 부담이 급증하면서 재정 건전성을 회복할 역량이 떨어지고 있고, 프랑수아 바이루 프랑스 총리가 9월 8일 의회에서 불신임당해 실각한 것도 신용 등급 강등의 결정적 계기가 됐다. 프랑스 통계청(INSEE)에 따르면, 지난 2분기 말 프랑스 공공 부채는 3조4163억유로로 국내총생산(GDP) 대비 115.6%에 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