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도널드 트럼프 미국 정부가 최근 엔비디아에 인공지능(AI) 전용 칩 ‘H20’의 중국 수출을 허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불과 석 달 전만 해도 H20의 대(對)중 수출을 금지했던 트럼프 정부가 돌연 태도를 바꾼 것이다.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는 7월 15일(이하 현지시각) 중국중앙TV(CCTV)와 인터뷰에서 “미국 정부가 H20 수출을 승인했다”며 “매우 기쁜 소식이고, 하루빨리 H20이 출하되길 기대한다”고 밝혔다.
H20은 엔비디아의 ‘성능 제한형’ AI 칩이다. 2022년 조 바이든 정부가 H100 등 첨단 반도체 칩의 대중 수출을 막자, 엔비디아는 이듬해 규제를 피해 성능을 낮춘 H20을 개발해 중국에 수출해 왔다. 하지만 지난 4월 트럼프 정부가 H20까지 중국에 수출하는 것을 금지하면서, 엔비디아는 최대 55억 달러의 손실을 본 것으로 알려졌다.
트럼프 정부가 석 달 만에 입장을 바꾼 데는 미·중 무역 협상의 영향이 컸다는 분석이다. 중국은 지난 6월 영국 런던에서 열린 미·중 고위급 협상에서 희토류 자석의 대미 수출을 재개하기로 했다. 미국도 여기에 맞춰 반도체 수출 규제를 완화하기로 했다. 하워드 러트닉 미 상무장관은 CNBC와 인터뷰에서 “희토류 수출 재개에 대한 대가로 H20 판매를 승인한 것”이라고 밝혔다.
트럼프 정부는 H20 대중 수출을 재개하지만, 중국과 기술 격차 유지에는 문제가 없다는 입장이다. 엔비디아 첨단 반도체 제품인 H100과 블랙웰 제품 수출은 계속 금지하고 H20처럼 성능이 제한된 제품만 선별적으로 허용하면 된다는 것이다. 다만 실제 공급까지는 시간이 걸릴 전망이다. IT전문 매체 디인포메이션에 따르면, 엔비디아는 지난 4월 H20 수출이 금지되자 TSMC에 주문한 생산 물량을 포기한 것으로 알려졌다. 생산 설비 전환 과정에 필요한 시간 등을 고려하면 H20 생산을 시작하는 데 최대 9개월이 걸릴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황 CEO는 이와 관련해 “중국에 대한 H20의 공급을 최대한 확대하겠다”고 말했다.

관세 협상 타결한 미국과 인도네시아
미국이 7월 15일 인도네시아와 관세 협상을 타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협상으로 미국으로 들어오는 인도네시아 제품에 19%의 관세가 부과될 예정이다. 앞서 공개한 관세 서한에서 미국이 인도네시아에 부과를 예고했던 관세율은 32%였는데, 이보다 낮아진 것이다. 다만 인도네시아가 미국에서 수입하는 제품에는 관세를 부과하지 않도록 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모든 비관세장벽이 해제돼 미국 기업의 인도네시아 진출이 가능해졌다”고 강조했다.

미국, 중국산 흑연에 93.5% 관세 부과 추진
블룸버그통신이 7월 17일 미국 상무부가 배터리 핵심 소재로 사용되는 중국산 흑연에 93.5%의 반덤핑 관세를 부과하는 예비적 결정을 내렸다고 보도했다. 중국 정부가 자국 흑연 업계에 불공정하게 보조금을 지급하고 있다는 이유에서다. 미국이 93.5% 반덤핑 관세를 추가하면 중국산 흑연에 실질적으로 부과되는 관세는 160%에 달할 전망이다. 중국 정부가 대응을 예고한 가운데, 미국은 12월 5일 전까지 최종 결정을 내릴 전망이다.

중국, AI 강국 도약 위해 수십억달러 투자
뉴욕타임스(NYT)가 7월 16일 중국이 AI 초강국이 되기 위해 수십억 달러를 투자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작년 7월 오픈AI가 중국 접근을 차단한 후 중국 기업이 오픈소스 시스템을 활용해 고도화된 AI를 개발하고 있고, 중국 정부도 반도체, 데이터센터, 인재 양성에 막대한 투자를 하며 AI 인프라를 국가 차원에서 구축하고 있다는 것이다. 다만 NYT는 중국의 정책이 중앙 집중식인 만큼, 기술 변화에 유연하게 대응하기 어려울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인도, 신재생에너지 발전 설비 비중 50% 달성
7월 18일 코트라 인도 뉴델리 지부에 따르면, 인도가 재생에너지 발전 설비 용량 비중을 총 50%로 끌어올린 것으로 나타났다. 발전 설비 용량이란 모든 발전 설비를 완전 가동 시 언제든지 생산할 수 있는 전력의 최대치를 말한다. 올해 6월 기준 발전 설비 용량 비중이 가장 높은 재생에너지원은 태양광으로, 23.3%로 나타났다. 풍력은 10.8%, 수력은 10.1%로 그 뒤를 이었다. 인도 정부는 2070년까지 신재생에너지 발전 설비 용량 비중을 100%로 늘리겠다는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