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달의 뉴스

글로벌 현장 리포트

KOTRA 해외 현지 보고 ‘트럼프 관세’ 현실화한다면… 美 소비자 의류 구매력 240억弗 감소
  • 김준희 미국 워싱턴무역관
  •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이 올해 11월 미국 대선에서 당선됐다. 그가 공약대로 고강도 관세정책을 도입한다면, 관련 산업계 영향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특히 중국산 비중이 높은 미국 소매업에 관한 우려가 높다. 가격 인상에 따른 소비자 부담이 늘고, 자칫 인플레이션(물가 상승)을 자극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에 미국 현지에서는 ‘일반특혜관세제도(GSP)1)’ 연장 등 소비자 보호를 위한 균형 잡힌 정책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커지는 분위기다. 

    자료_전미소매협회


    고율 관세로 소매품 가격 상승⋯가계 부담 커질 듯 


    내년 1월 출범할 미국 신행정부는 관세 인상과 세제 정책 개편을 통해 소비자와 기업 부담을 최소화하고 규제 완화를 통해 디지털 및 제조업 부문의 성장을 촉진하겠다는 방침이다. 다만 인플레이션이 중산층 가계에 미치는 영향이 확대되는 상황에서 트럼프의 관세정책이 미국 소매 업계와 일반 소비자에 추가 부담을 초래할 수 있다.

    현지 언론에선 이번 대선 결과가 크게 영향을 미치는 산업으로 소매업을 꼽고 있다. 블룸버그통신은 자체 조사 결과를 기반으로 ‘금융업·헬스케어·전기차·소매·에너지’ 다섯 개 산업이 대선 결과에 주로 영향을 받을 것으로 분석했다. 그중에서도 특히 중국산 수입품 비중이 높은 소매 분야가 전방위적 영향을 받을 것으로 내다봤다. 급격한 관세 인상이 소매 업체의 제품 가격 인상 압박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다고 본 것이다.

    이는 트럼프가 이번 대선 공약으로 모든 수입품에 10~20% 보편 관세를 부과하고, 중국산 수입품의 경우 60% 이상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밝혔기 때문이다. 상대국의 보복과 이에 대한 대응이 반복된다면 추가 관세가 부과될 수도 있다. 문제는 미국 시장에서 판매 중인 의류, 신발, 가전제품의 수입품 비중이 높다는 점이다. 의류의 경우 97%, 신발은 98%, 가전제품은 90% 이상이 수입품이다. 중국산 수입 비중도 높은데, 구체적으로 의류 33%, 신발 50%, 노트북 79%, 스마트폰 78% 등이 중국에서 들어온다. 미국 경제정책 리서치 회사 ‘베다파트너스(Veda Partners)’가 “광범위한 상품에 관세가 적용될 텐데, 특히 수입 비중이 높은 소매업이 큰 위험에 노출돼 있다”고 지적한 배경이다.

    실제로 트럼프 공약대로 관세정책이 시행된다면, 소매품 가격이 올라 소비자 부담도 덩달아 커질 수밖에 없다. 전미소매연합(NRF) 보고서에 따르면, 미국 신행정부의 보편 관세 및 대중(對中) 고율 관세로 의류, 장난감, 가구, 가전제품, 신발, 여행용품 등의 소매품 가격이 크게 오를 전망이다.

    가령 장난감 가격은 최대 56% 오를 수 있는데, 미국 전체 가정이 부담할 관세 규모만 최대 140억달러(약 19조5440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예상된다. 가전제품과 신발 역시 관세 인상 여파로 가격이 각각 최대 31%, 29%씩 오를 전망이다. NRF 보고서는 수입품 가격 인상이 곧 세금 인상으로 이어져 결국 가계 구매력이 감소하고, 미국 경제 전체에 부담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봤다. 아울러 미국에서 판매되는 다양한 소비자 제품, 그 중에서도 중국이 주요 공급자인 제품의 가격 상승과 부정적 영향을 분석했는데, 미국 내 수입 업체 중 비싼 관세를 흡수할 만한 업체가 많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관세는 외국 공급 업체가 아닌 미국 수입 업체가 먼저 지불하는 만큼, 결국 최종 소비자 판매가에 관세 비용이 전가돼 제품 자체 가격이 상승하는 형태로 변형될 것으로 지적됐다.

    높아진 제품 구매가는 고소득 가구보다 저소득 가구에 더 큰 영향을 미칠 수밖에 없다. 가령 의류의 경우 관세 인상 시 연간 최대 240억달러(약 33조5040억원)의 구매력이 감소할 것으로 관측되는데, 저소득층이 고소득층 가정보다 의류 구입에 지출하는 비중이 세 배 높아 고스란히 비용 부담을 떠안게 될 전망이다. 미국 소매업지도자협회(RILA)는 인플레이션이 중산층 가계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을 우려하고 있다. 이에 소비자 보호를 위한 균형 잡힌 관세정책이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미국 의류신발협회(AAFA) 역시 트럼프 관세정책이 소비자와 기업의 세금 부담을 가중할 수 있다고 지적하며, 관세 부담 완화를 위한 ‘일반특혜관세제도’와 ‘아프리카성장기회법(AGOA)2)’ 등 무역 혜택 프로그램을 연장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용어설명

    • * 1) 일반특혜관세제도(GSP)

      선진국이 개발도상국으로부터 수입하는 농수산품·완제품 및 반제품에 대해 관세를 철폐 또는 세율을 인하해주는 제도. 미국은 1976년부터 도입해 왔지만, 트럼프 전 대통령의 경우 재임 당시 인도 등을 대상으로 일반특혜관세제도 적용을 중단한 바 있다.


    • * 2) 아프리카성장기회법 (AGOA)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 국가에서 미국으로 직접 수출할 때 관세와 쿼터를 면제하는 법률. 2000년 제정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