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달의 뉴스

글로벌 통상 뉴스

치솟는 글로벌 해상 운임 자동차·전기전자·의료 기기 중동 불안·가뭄에 다시 커진 전 세계 공급망 대란 우려
수에즈운하를 지나는 컨테이너선.

글로벌 해운 운임이 치솟으면서 공급망 혼란을 걱정하는 목소리가 커졌다. 해운업계에 따르면 해상 컨테이너 운임의 주요 지표인 상하이컨테이너선운임지수(SCFI)는 지난 7월 5일 기준 전주보다 19.48포인트 오른 3733.80으로 집계됐다. 이에 따라 코로나19 팬데믹(pandemic·감염병 대유행) 기간인 2022년 7월 15일(4074.70) 이후 약 2년 만의 4000선 진입을 눈앞에 두게 됐다. 컨테이너 운임이 큰 폭으로 오른 가장 큰 이유는 중동 지역의 지정학적 불안이다. 

지중해와 홍해를 잇는 수에즈운하는 아시아에서 유럽으로 진입하는 관문 역할을 하는데, 이곳이 이스라엘·하마스 전쟁으로 사실상 막힌 상태다. 하마스에 우호적인 예멘의 후티 반군이 홍해를 지나는 상선을 공격하며 이동이 불가능한 상황이 이어지고 있다. 이에 글로벌 해운사들은 아프리카 남단 희망봉 항로로 크게 우회하고 있다.

대만~네덜란드 구간의 초대형 컨테이너선(평균 속도 16.48노트 기준)을 기준으로 수에즈운하를 통과할 경우, 이동 거리는 1만8520㎞로 25.5일이 걸린다. 하지만 희망봉 항로로 우회하면 총 2만 5002㎞로 34일이 소요된다. 왕복으로 따지면 3주 가량 더 걸리고, 이동 거리도 많이 늘어나 운임 상승이 불가피하다.

글로벌 스포츠 브랜드 뉴발란스의 최고 운영 책임자인 데이브 휠러는 “(공급망 교란으로) 매달 40% 이상의 요금 인상분을 감당해야 한다”며 “코로나19 팬데믹(pandemic·감염병 대유행)이 최고조에 달했던 당시와 비슷하다”고 했다.

태평양과 대서양을 이어주는 최단 항로인 파나마 운하가 가뭄으로 지장을 받는 것도 지속적으로 운임이 오르는 이유다. 최근 우기가 오면서 상황이 나아지고 있지만 정상화까지는 시간이 더 걸릴 것으로 보인다.

여기에 미국 정부가 중국산 전기차, 반도체, 철강 등에 대해 관세 인상을 발표한 것도 중국발 미국향 해운 운임 상승 압력으로 작용하고 있다. 중국 기업들이 추가 관세 부과 이전에 수출하기 위해 서두르고 있기 때문이다.

이밖에 △미국 동부와 걸프만 해안에서 항만 노동자들이 파업 시위로 위협하고 있고 △캐나다 철도 노동자가 파업 채비를 하는 상황도 글로벌 해상운임 상승을 부추기고 있다.

우에다 일본은행 총재, 7월 금리 인상 가능성 시사


일본 도쿄에 있는 일본은행(BOJ) 본관.

일본의 소비자물가지수(CPI)가 반등하면서 금리 인상 가능성이 커졌다. 6월 21일 일본 총무성이 발표한 일본의 5월 근원 CPI는 전년 동기 대비 2.5% 상승해 전월(2.2%) 대비 상승 폭이 커졌다. 이코노미스트들의 예상치 중간값(2.6%)보다는 낮았지만, 일본은행(BOJ)의 목표치 2%를 26개월 연속 웃돌았다. 닛케이는 재생에너지 비용에 대한 할증료 인상으로 공공요금이 14.7% 상승하며 물가 상승을 주도한 것으로 봤다. 물가 상승 폭이 가팔라지면서 BOJ의 금리 인상 가능성도 커지고 있다. 앞서 BOJ는 지속적인 인플레이션 상승이 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면밀히 검토하고 있다고 밝힌 바 있다. 우에다 가즈오 BOJ 총재는 이날 금리 인상 가능성에 대한 질문에 “물론”이라고 답하며 경제 데이터가 금리 인상 필요성을 시사할 경우 주저하지 않을 것이라고 했다.


팬데믹 이후 전 세계 투자 3분의 1 미국으로 몰렸다 

미국의 고금리와 자국 우선주의 산업 정책 등의 영향으로 최근 몇 년간 전 세계 투자금의 미국 쏠림이 심해졌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국제통화기금(IMF)의 관련 분석을 보면,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전 세계에서 국경을 넘어 이뤄진 투자 가운데 3분의 1 가까이가 미국으로 흘러들어갔다. 팬데믹 이전 이 수치는 평균 18% 수준이었다. 미국이 인플레이션 대응 과정에서 기준금리를 수십 년 만에 최고 수준으로 올리면서 글로벌 투자금이 미국으로 몰렸다. 여기에 친환경 에너지와 반도체 생산을 촉진하기 위한 미국 정부의 보조금 정책 영향으로 미국으로 향하는 외국인직접투자(FDI)도 늘었다. 반면 지난해 신흥 시장으로의 FDI 규모는 2000년대 들어 최저 수준으로 내려왔다. 이에 대해 조너선 포튼 국제금융협회(IIF) 이코노미스트는 “미국이 신흥국으로 흘러가는 자금 일부를 말려버렸다”고 언급했다.


MS도, 아마존도…인도코끼리 등에 올라탄 美 빅테크


마이크로소프트(MS), 아마존 등 빅테크가 잇따라 인도 관련 투자를 늘리고 있다. 파이낸셜타임스(FT)에 따르면 MS는 인도 남부 텔랑가나주에 약 37억달러(약 5조1470억원)를 투자해 데이터센터를 건설할 예정이다. 아마존도 2030년까지 인도의 클라우드 인프라에 약 127억달러(약 17조6670억원)를 투자할 계획이다. 인도는 이를 통해 아시아·태평양 지역에서 최대 규모 데이터 처리 역량을 확보할 전망이다. MS와 아마존이 인도에 대규모 투자를 결정한 것은 AI 산업이 급성장하고 있는 데다, 경제성장의 잠재력도 크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인도는 전 세계 AI 인재의 16%를 보유하고 있다. 2만3000명을 헤아리는 MS의 인도 직원 가운데 약 3분의 2가 엔지니어다. 인도 정부는 오는 2030년까지 7% 이상의 성장세를 이어갈 것으로 자신하고 있다.


“2050년 넷제로 달성하려면 5경원 가까이 추가 지출해야”

다수의 국가가 목표한 대로 2050년까지 탄소 순 배출 제로를 달성하기 위해선 정부와 기업이 지금부터 청정에너지 전환에 34조달러(약 4경7294조원)를 추가로 지출해야 한다는 계산이 나왔다. 전기차와 재생에너지부터 전력망과 탄소 포집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분야에 대한 추가 지원 필요성이 그만큼 커졌다는 뜻이다. 글로벌 연구기관인 블룸버그NEF는 6월 21일 발간한 ‘신에너지 전망(New Energy Outlook)’ 보고서를 통해 “1800만 개의 데이터 포인트를 분석한 결과, 이와 같이 추정됐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이 금액은 기본 시나리오에 따라 예상했던 것보다 19% 더 올라간 금액이라고 설명했다. 블룸버그NEF는 앞서 연초에 저탄소 에너지 전환을 위한 전 세계 투자가 지난해 1조8000억달러(약 2523조원)에 달했다고 밝힌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