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트렌드

글로벌 서플라이 체인

EU, 세계 첫 AI 규제법 통과 2026년 본격 시행… 위반 시 매출 7% 과징금

유럽연합(EU)이 세계 최초로 인공지능(AI)을 포괄적으로 규제하는 법안을 통과시켰다. 오픈AI와 구글 등 전 세계 빅테크(대형 정보기술 기업)를 중심으로 AI 기술 경쟁이 격화하는 가운데, AI 규제를 고심하는 세계 각국에 이정표 역할을 할 전망이다.

3월 13일(이하 현지시각) AFP통신 등에 따르면,유럽의회는 이날 프랑스에서 열린 본회의에서 이른바 ‘AI규제법’ 최종안을 찬성 523표, 반대 46표,기권 49표로 가결했다. 티에리 브레통 EU 내부 시장 담당 집행위원은 성명을 통해 “유럽은 이제 신뢰할 수 있는 AI 분야에서 글로벌 표준을 제시하는 국가가 됐다”고 밝혔다.

글로벌공급망분석센터 글로벌 공급망 이슈에 대한 상시·전문적 분석 역량을 갖춘 국내 유일의 공급망 분석 전문기관으로, 2022년 2월 9일 출범했다. 정부 부처, 무역관, 업종별 협회 및 주요 기업 등으로부터 수집된 주요 산업 관련 국내외 동향을 심층 분석하고, 정부·민간의 대응 전략 수립을 지원하며 ‘글로벌 공급망 인사이트’를 주간으로 발간하고 있다.

EU, AI 위험 등급 4등급으로 분류해 차등 규제

AI규제법 최종안의 세부 내용을 살펴보면, 인권및 민주주의에 잠재적인 위협이 될 수 있는 분야는 AI 기술 활용을 금지하고, 생성 AI(GenerativeAI)로 제작한 이미지와 영상 등 콘텐츠에는 명확한 출처를 표기하도록 했다. 또 EU 집행위원회 내 ‘AI 사무국’을 설치해 AI 모델을 감독하고 회원국 내 통용될 규칙 시행 권리를 부여하기로 했다.

주목할 점은 EU가 앞으로 AI를 위험에 따라△최소 위험(minimal risk) △제한된 위험(limitedrisk) △높은 위험(high risk) △허용 불가한 위험(unacceptable risk) 등 네 가지 위험 등급으로 분류하고 차등 규제하기로 했다는 사실이다. 가령 챗봇이나 딥페이크(AI로 만든 이미지·영상 조작물)는 ‘제한된 위험’으로 분류해 제공자나 활용자에게 ‘투명성 의무’를 부과한다.

‘소셜 스코어링social scoring)이나 안면 인식 기술 등 AI로 생체 정보를 실시간 수집하는 것은 ‘허용 불가한 위험’으로 분류해 범죄 수사, 안보 및 보안 등의 목적이 아니면 사용을 금지하도록 했다. AI규제법은 27개 EU 회원국의 서명을 거쳐 6월 관보에 게재되면 2025년 초에 발효돼 2026년 전면 시행될 예정이다. 만약 기업이 AI규제법을 위반하면 최대 3500만유로(약 508억원) 또는 전 세계연 매출의 7%를 벌금으로 내야 한다. 기업 규모별로 벌금액은 상이한데, 중소기업이 AI규제법을 위반하면 최대 750만유로(약 109억원) 또는 전 세계 연 매출의 1.5%가 벌금으로 부과된다.

이번 AI규제법 통과는 앞서 EU에서 발효된 각종 디지털 법규의 연장선에 있다. 2022년 11월 발효된 디지털서비스법(DSA)은 대형 온라인 플랫폼을 대상으로 사용자 보호를 의무화한 게 골자인데,빅테크가 불법 유해 콘텐츠를 방치할 경우 매출액의 최대 6%에 달하는 과징금을 부과하고 있다. 이듬해인 2023년 5월 시행된 디지털시장법(DMA)은 빅테크가 막강한 시장 지배력을 이용해 온라인 쇼핑과 광고 등 디지털 시장을 독과점하지 못하도록 했다. 가령 앱스토어 등에서 빅테크가 자사 제품을 높은 순위에 올리는 건 금지다. 이를 위반할 경우 전 세계 연 매출의 최대 10%를 벌금으로 부과하고 법 위반을 반복할 시 최대 20%의 벌금을 부과하도록 했다.

※ 단 범죄 수사 및 안보, 보안 등의 목적은 예외. 자료_코트라

세계 각국 ‘AI 규제’ 속도

국제사회에서도 AI 규제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3월 21일 유엔 총회에선 120개 회원국이 안전하고 신뢰할 수 있는 AI 시스템을 유지하자는 결의안을 채택했다. 국제법상 유엔 결의안은 구속력이 없지만, AI 관련 규제가 필요하다는 국제적 공감대가 형성됐음을 시사한다. 실제로 미국에서는 작년 10월 조 바이든 대통령이 AI 모델이 국가 안보나 경제 및 건강상 위험을 초래할 경우 개발자가 연방 정부에 통지해야 한다는 내용의 행정 명령에 서명했다.

이 행정 명령에는 AI를 활용해 만든 콘텐츠에 워터마크(식별 표식)를 넣도록 하는 규정도 포함돼 있다고 한다. 산케이 신문에 따르면, 일본도 생성 AI 개발자를 염두에 둔 규제 도입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한국의 경우 AI산업 육성·안전성 확보를 위한 방향성을 담은 ‘AI산업 육성 및 신뢰 확보에 관한 법률안’이 작년 2월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법안소위를통과했고, 현재 계류 상태에 있다.


용어설명
  • * ① 소셜 스코어링 (social scoring) 소셜미디어(SNS) 등에서 개인과 기업 등의 사회적 영향력을 점수화하는 행위로, EU의 AI규제법은 인터넷에서 사회적 인지도를 높이는 데 AI를 악용하지 못하도록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