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상 용어 CHECK

이번 호 <통상>에서 다룬 주요 용어들입니다.
통상 용어부터 체크하고 읽으면 이해하기가 훨씬 더 쉬워집니다.

연방준비제도 FRS; Federal Reserve System
p. 10

1907년 금융공황 후 그 대책으로 1913년에 제정된 미 연방준비법에 의해 창설된 미국 특유의 중앙은행제도이다. 연방준비제도이사회(FRB; Federal Reserve Board)와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Federal Open Market Committee), 12개의 지역연방준비은행 그리고 약 2,800개 회원은행 등의 독립기관으로 구성되어 있다.

테이퍼링 Tapering
p. 6-19, 31, 43, 48

정부가 경제위기에 대처하기 위해 취했던 양적완화의 규모를 경제에 미치는 부작용을 최소화하면서 점진적으로 축소해나가는 일종의 출구 전략이다. 사전적 의미의 테이퍼링(tapering)은 ‘점점 가늘어지다’, ‘끝이 뾰족해지다’라는 뜻이다. 2013년 5월 23일 벤 버냉키 미국 연방준비제도이사회 의장이 의회 증언 도중에 언급하면서 유명한 말이 됐다.

석유수출국기구 플러스 OPEC Plus
p.17. 38

석유수출국기구(OPEC)에 속한 14개 국가와 OPEC 회원국은 아니지만 원유를 생산하는 러시아·멕시코 등 비(非)OPEC 10개국을 포함하는 산유국의 협의체를 이른다. OPEC 플러스는 코로나19 이후 원유 수요가 급감하면서 생산량을 대폭 줄였다가 회복세를 보이자 지난 8월부터 석유 생산량을 늘리기로 합의했다. 그러나 유가급등 등을 이유로 생산량을 더 늘리라는 국제사회의 압박에도 증산 규모를 매달 하루 40만 배럴로 제한하고 있다.

쿼드 Quad
p. 27

쿼드는 중국 견제를 위해 미국·일본·호주·인도 등 4개국이 결성한 지역 안보 협의체다. 이들 4개국은 인도양 및 태평양 지역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국가다. 쿼드 플러스는 현재 가입국인 4개국에서 협력 범위를 더욱 넓히기 위해 한국·뉴질랜드·베트남 등 주변 동맹국들을 포함한 개념으로 동아시아판 북대서양조약기구(NATO; North Atlantic Treaty Organization)로 불리기도 한다.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DX; Digital Transformation
p. 36,37

조직이 기술 발전에 따라 새롭고 혁신적인 비즈니스 방식을 도입할 때 발생하는 현상으로, 디지털 툴을 사용해 근본적인 변화를 일으키며 기술 도입 또는 잠재적으로 기존에 존재하던 것을 개선하거나 새로운 것으로 대체하는 문화적 변화를 나타낸다. 이것이 중요한 이유는 기업이 비즈니스와 사회에 영향을 주는 새로운 기술에 충분히 빠르게 적응하지 못하는 경우, 해당 기업의 제품 또는 기업 자체가 사장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일반특혜관세제도 GSP; Generalized System of Preference
p. 46

개도국을 지원하기 위해 선진국 등이 개도국 수입품에 일방적인 특혜관세를 부여하는 제도다. 개도국의 무역·경제 발전에 상당히 기여한 것으로 평가받는다. 수출주도형 경제발전 전략을 추구해온 우리나라에도 상품의 가격경쟁력 강화에 큰 영향을 미쳐 경제발전에 밑거름이 됐다.